서버
서버(server)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이다.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며, 서비스의 규모가 커질수록 높은 성능, 특히 뛰어난 네트워크 성능이 필요하다. 이 때문에 조립PC는 물론 일반 완제품 PC도 전문적인 서버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. 단순한 소규모 홈페이지 서비스라면 직접 서버를 운영하는 것보다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. 그러나 일반적이지 않은 다양한 서비스를 원하면 서버를 직접 운영할 수도 있다. 이런 경우 서버는 PC로 운영해도 큰 문제는 없다.
쉽게 사용하려면 OS로 윈도우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리눅스를 설치하면 더 다양한 서버용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. 특히 초반의 어려움만 이겨내면 리눅스가 더 쉬울 수도 있다. 특히 서버 관련해서는 훨씬 많은 자료가 리눅스 위주로 설명되어 있다.
이 페이지에서는 TX100에 윈도우 서버 2012 R2를 설치하고 Hyper-V를 통한 가상화로 우분투를 설치/설정하는 과정을 소개한다.
윈도우 서버 2012 R2
- 윈도우 설치
- 일반 윈도우 설치와 거의 유사함
- 원격 접속 허용
- 방화벽 고급 설정에서 원격데스크톱 인바운드 규칙에서 공용 네트워크를 허용해야 할 수도 있음
- 윈도우 업데이트 허용
- 기본적으로 업데이트를 하지 않도록 되어 있음
- 서버관리자
- Hyper-V 역할 추가
- Hyper-V 관리자
- 가상스위치 관리자
- 외부 가상 스위치 생성
- 가상 컴퓨터 생성
- 우분투를 사용하므로 1세대 선택
- 네크워킹 구성에서 생성한 가상 스위치 선택
우분투 12.04
- openssh 설치
- apache2, php5 설치(LAMP 참조)
- MySQL은 사용하지 않으므로 생략
- vsftpd 설치
- anonymous_enabled=NO
- local_enable=YES
- write_enale=YES
- pam_service_name=ftp(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)
- transmission-daemon 설치
토론